대량살상 수학무기를 읽었다.

2025. 2. 24. 15:09독후감&생각

728x90
반응형


"세상의 모든 약자들에게 헌정합니다"

책의 첫 장에 위 문구가 있었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야 저자가

어떤 마음으로 이 책을 집필했는지 알 수 있었다.

최근에 읽은 책 중 가장 흥미롭게 읽었다.

 


 

대량 살상 수학 무기는

Weapons of Math Destruction의 약자로

책에선 WMD로 축약하여 부르고 있다.

쉽게 말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이다.

빅데이터 분석의 바탕은 수학이며,

그 수학적 풀이를 코드화 시킨 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책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의 허점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모형이란 본래 복잡한 현실을

단순화한 개념이다

1장. 대량살상 수학무기의 탄생

모형(알고리즘)의 특징 중 하나인

효율성을 위해 정확성과 통찰을 희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모형을 설계하는 학자들의

판단 기준과 우선순위가 반영된다.

결국

사람의 편향이나 신념이 모형에 반영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알고리즘은 패배자로 낙인찍힌 사람들이

언제까지나 계속 패배자로 남도록 만든다.

2장 셸쇼크

 

WMD의 세 가지 특징은

불투명성, 확장성, 파괴적인 피드백 루프(피해)다.

예를 들어 은행의 대출 심사 모형에서 당신에 대해

채무불이행 위험이 높다고 판단하면 어떻게 될까?

모형이 당신을 채무 불이행 위험이 높다고 판단하면,

당신은 왜 채무 불이행위험이

높은 분류에 속했는지 알 수 없다.

이것이 WMD의 첫 번째 특징인 불투명성이다.

'예비 채무불이행자'라는

꼬리표가 붙은 당신은

아파트나 일자리를 구할 때는 물론이고,

자동차를 렌트 할때 조차

'예비 채무불이행자' 라는

꼬리표가 당신을 따라다닌다.

이 꼬리표는 당신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것이 WMD의 두번째 특징인 확장성이다.

모형의 분류에 따라 결국 당신은

이러한 피해를 지속적으로 입을 수밖에 없다.

이것이 WMD의

마지막 특징인 파괴적인 피드백루프이다.

그럼 WMD의 대표적인 사례를 알아보자.

미국 금융위기 이후

펜실베니아 지역의 세수는 크게 줄었다.

이로 인해 경찰 인력을 줄일 수 밖에 없었다.

경찰 서장은 경찰 인력이 줄더라도

치안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더 나은 방법을 찾아야 했다.

이때 해결책으로 나온것이 범죄 예측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지역 내 범죄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범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예측했다.

범죄 예측 알고리즘을 도입 이후

범죄율이 23%나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결과로만 본다면

범죄예측 알고리즘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 알고리즘에는 문제가 있었다.

범죄에는 강도와 살인 같은 1군 범죄가 있고,

마약을 소량 판매하고, 복용하는등의

경미한 2군 범죄가 있다.

2군 범죄의 데이터를 알고리즘에

포함 시키면 분석이 왜곡될 위험이 있다.

가난한 동네에서 2군 범죄는 흔한 일이다.

경찰들은 강도와 살인 같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순찰을 돈다고 하지만, 우범지대로 분류된 곳에서

경미한 범죄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모른척할 수 있겠는가?

이런 경범죄가 범죄 예측 알고리즘에서

더 많은 우위를 차지하게 되고,

다시 경찰들에게 그 지역을 순찰하게 만든다.

이는 바로

유해한 피드백 루프가 활성화 되는 전형적인 과정이다.

결국 가난한 사람들이 전과자가 될 확률이 높아지고,

출소 이후에도 범죄자라는 낙인으로 인해

취업활동이 어려워진다.

결국 그들의 삶은 점점 더 피폐 해지는 것이다.

이 처럼 WMD는 우리 사회내에서

힘없는 약자들에게 불평등을 초래한다.

 

정보와 부를 거머쥔 사람들은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실패자가 될

가능성이 더 커졌다.

6장 디지털 골상학

정보와 부를 거머쥔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밖에 없다.

왜 그런지 예를 들어보자.

채용절차를 위한 채용 알고리즘은

수많은 이력서를 검토 하고 분류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러한 알고리즘은

편견에 물들여져 있다.

위에서 말했듯 알고리즘에는

인간의 편향과 우선순위가 반영될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알고리즘이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알수 없다면 정보가 없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결국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알고리즘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우리의 생계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강력한 힘을 가진 기업들은

수많은 사람에 관한 막대한 정보와 더불어

자신들이 선택하는 방향으로

우리를 이끌 수 있는 도구를 보유하고 있다.

10장. 표적이 된 시민들

예를 들어 당신이 쿠팡에서 물건을 살 때

할인 쿠폰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알고리즘이 판단한다면

당신에겐 더 이상 쿠폰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당신은 같은 물건이라도 남들보다 더 비싼 돈을 주고

사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선 최대한 이윤을 창출하는 방향으로만

알고리즘이 동작하기 때문이다.

또한 당신에게 노출되는 모든 광고 및 정보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

당신의 소득수준, 학력, 사는 곳 등등

당신의 데이터는 이미 전부 수집되어,

당신도 모르게 알고리즘에 의해 분류된다.

그로 인해 당신에게 맞는 맞춤광고가 제공된다.


빅데이터와 IT 의 결합으로

탄생한 수많은 알고리즘 모형들은

인간보다 공정하다는 믿음아래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현실은 정반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WMD 가 사회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빈부격차등의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다.

"대단히 흥미롭고 굉장히 심란케 하는 책"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의 서평이다.

이 책을 다 읽고 나 역시 같은 마음이였다.

한줄평

'완벽한 알고리즘은 없다.'

728x90
반응형